-->
본문 바로가기

IT/git.githob

Git이란?

 

 

Git

-분산형관리시스템,형상관리시스템 ,버전, 컨트롤 시스템으로 불리며 주로 개발자들이 자신들이 제작한 소스를 저장하거나 공유를 하는데 사용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개요(나무위키에서 발췌)

오픈소스계의 영원한 아이돌 리누스 토발즈는 리눅스 커널을 관리하는 기존 툴이 엉망인 것에 너무 빡친 바람에 git이라는 소스관리 툴을 만든다. 리누스는 하도 빡친 나머지, 단 2주만에 완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고는 후에 “git 만드는게 제일 쉬웠어요”라는 인터뷰로 나와 같은 빠돌이를 지리게 했다.)

  • 리눅스 토발즈가 만든 분산형관리 시스템(VCS)
  • 매우 빠른 속도와 분산형 저장소 지원이 특징
  • 오픈 소스 개발의 특성상 여럿이 달려들어 자기 맘에 드는 걸 하기도 하며, 또한 뭘 하나 잘못 붙였다 이상한 걸 건드려 망하기 쉬운데, Git는 이런 환경의 특성에 맞게끔 잘 만들어져 있다. (위의 이유가 Git 의 특징중 가장 강력한 특징이다.)

기본용어

 

커밋(Commit)

- 가장 기본적인 용어로..제작한 소스코드나 파일들을 형상관리 화면에 올리기 위해 사용합니다.

- git commit

 

스테이지에 올린다.(Add)

- 위의 커밋 작업을 하기 위해 만든 소스코드나 파일들을 묶어서 올리기 위해 사용합니다. 

 

업로드(Push)

- 스테이지에 올리는 작업을 하고 난 다음에는 해당 소스코드나 파일들을 원격 서버에 올리는 작업을 해야됩니다.

해당 작업은 git에서 해야되는 가장 최종적인 작업이므로 업로드를 하게 되면 해당 원격 서버에 올라가게 되므로 다른사용자들도 작업한 사용자의 소스코드나 파일들 작업문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